분석 대상 산업 범위
닥터나우등 주요 원격의료 업체들이 영위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, 처방약 배송, 실시간 상담, B2B 의료 서비스 중 비즈니스 구조와 제도 측면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서비스인 비대면 진료 중심 분석
국내 비대면 의료 시장 규모
비대면 진료 현황
빠르게 증가하는 진료건수, 진료비, 참여 의료기관
- 전체 의료기관 중 27.8%에 해당하는 20,076개소가 비대면진료에 참여
고령층, 만성/경증질환 환자 중심으로 높은 이용률
- 연령 기준으로는 전체 736만 건 중 만 60세 이상이 288만 건(39.2%), 만 20세 미만이 111.2만 건(15.1%)을 차지, 60~69세가 127.5만 건(17.3%)으로 가장 큰 비중 차지.
- 질환 기준으로는 고혈압(15.8%), 급성기관지염(7.5%), 비 합병증 당뇨(4.9%)의 순서로 큰 비중 차지.
비대면 진료 시장 성장성
높은 수요가 증명된 국내 비대면 진료 시장 성장성은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진행 양상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 높음
시장 외부
- 현재까지 한시적으로 허용되었던 조건없는 비대면 진료는 감염병 경보 단계 하향으로 인해 6.1. 부로 불법이 되나 의료법 개정안은 통과가 불투명한 관계로 보건복지부는 시범사업 추진
- 그러나 기존 대비 상당히 제한적인 진료의 형태로 성장 속도 둔화 예상. (의원급 의료기관 원칙, 재진 원칙, 초진대상 제한, 비대면 진료비중 30% 제한 등) *보건복지부
- 의료인단체들의 격렬한 반대 및 여/야 의원들의 비대면 진료 관련 의료법에 대한 현재 스탠스를 고려했을 때 단기적으로 이와 같은 제한이 풀리기는 어려워 보임
시장 내부
- 증가하는 원격의료 업체들의 적극적인 파이 창출 (참여 의료기관 수 증대, 잠재 고객 증대)
- 이용자의 높은 비대면 의료 만족도 (‘비대면 진료에 만족한다’ 62.3%, ‘향후 비대면 진료 활용 의향이 있다’라는 응답이 87.9%) *보건산업진흥원
- 개별 의료인 입장에서의 높은 이용 만족도 (매출 및 편의성에 긍정적인 영향)
경쟁 현황
Overview
- 전반적으로 높아진 경쟁강도 (30여개의 플레이어), 구조적인 이유로 대부분이 순손실 기록중
- 대부분의 원격의료 플랫폼의 경우 비대면 진료 등으로 사용자를 모으고, 수익은 다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나 광고료 등을 통해서 ‘수취하는 방향의 슈퍼앱’ 전략 실행
- 후발주자들의 경우 탈모와 같은 특정 질환 등에 집중한 버티컬 솔루션 위주로 서비스
주요 플레이어 현황
케어랩스(굿닥)
- 폭넓은 서비스 영위(헬스케어 플랫폼, IT 분야인 고객관리 및 처방전보안시스템 사업, 온라인 광고 사업, 커뮤니티 사업 분야 등)헬스케어 솔루션(EMR)과 비대면진료 및 약배송에는 무과금, 수익성 높은 광고에 집중
블루앤트(올라케어)
- 브랜드 입점 및 PB 브랜드를 통한 커머스 부분의 라이프 케어(식단, 수면 등) 제품 라인업 강화
- 정신건강 및 심리 상담 서비스 개편을 통한 이용자 수 증대
비브로스(똑닥)
- EMR 연동을 통한 병원 검색-예약-진료 접수-사전 문진-진료비 결제-보험 청구 등의 과정 지원
- 국내 14개 EMR 솔루션 기업들과 독점 계약

향후 경쟁 상황 전망
- 비대면 진료 및 처방약 배송 이용자를 모객하기 위한 병원, 약국 등 제휴기관 영업 경쟁 심화
- 신규 수익원 확보를 위한 커머스, 광고, 비의료건강관리 서비스로의 경쟁 범위 확대
리스크
- 제한적인 비대면 의료 방식으로의 제도화로 인한 잠재 시장 규모 및 성장성 축소
- 제도화와 별개로 의료인 협회의 강력한 반발은 의료인 의존적인 현 서비스 구조에서 플레이어들의 이용자 및 수익성 확보에 심각한 문제 유발 가능 (로톡 – 변협 사례 참조)
'산업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위 산업 살펴보기 (0) | 2023.05.04 |
---|---|
제약 산업 살펴보기 (2) | 2023.04.26 |
건설 산업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
탄소 포집 기술(CCUS)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
생성형 AI (Generative AI) 시장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