살펴보기 시리즈 포스트는 전반적으로 특정 산업/시장/기술 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, 인사이트를 정리하고, 기술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등을 자유롭게 기록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건설 산업의 분류 및 현황
- 지역: Asia-Pacific(44%), North America(21%), Europe(17%), Latin America(9%), Middle East and Africa(9%)
- 성장률: 중동(14.4%),아프리카(8.2%), 중남미(7.4%), 아시아(4.5%) 시장 순
- 발주처(국내EPC기업 기준): 민간 분야(70%) / 공공 분야(30%), 국내(40%) / 해외(60%)
- 국내 기업 해외 수주 현황 :
- 대륙별 - 아시아(39%), 중동(29%), 북미·태평양(15%), 유럽(11%)
- 국가별 - 인도네시아(36억7000만 달러), 사우디아라비아(34억8000만 달러), 미국(34억6000만 달러)
- 공정 종류: 주택(주택, 아파트) / 토목(도로, 교량, 수처리) / 건축(업무공간, 상업공간) / 플랜트(원자력, 가스처리, 정유, 석유화학)
- 주택 시장의 경우 부동산 경기, 토목 시장의 경우 정부 SOC 예산과 밀접한 연관
건설산업 특성
- 인력 의존도가 높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, 정부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음
- 주문생산의 형태로 기업 운영의 탄력성이 낮고 원가의 표준화와 규격화가 어려움
- 생산의 기본구조가 복합적이기 때문에 하도급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
- 긴 생산소요시간으로 인해 비용 및 관리 변동성 높음
수익 구조
- 주로 수주 형태로 프로젝트 진행, 매출 먼저 결정되고 원가는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변동, 재무제표에는 비용 집행 비율에 따라 매출 기록
-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건설사 매출원가에서 재료비 노출도는 30% 내외. GS건설 기준 2020년 연결 매출원가 내 요소별 비중을 살펴보면, 재료비는 23.8%, 외주비는 45.8%, 기타 경상비는 30.3% 차지
밸류 체인
- PJT 관리 / 타당성 조사 → 기본 설계 → 상세 설계 → 구매/조달 → 시공 → 시운전 → 유지 / 보수
- 이해관계자 : 시행사, 시공사, 감리회사 (건설 공사가 관계 법령 및 서류등에 따라 적정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거나 기술지도를 수행)
-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EPC에 강점. EPC = 상세 설계(Engineering), 구매/조달(Procurement), 시공(Construction)
- 밸류체인 단계별 마진율 참고:
- 계획 및 설계 단계: 15~25%건설 및 엔지니어링 단계: 3~8%
- 커미셔닝 및 인도 단계: 1-3%
- 조달 및 자재 공급 단계: 10~20%
건설산업의 트렌드
공급 측면
- 디지털화 및 기술 도입: 건설 회사들은 건설 현장의 효율성, 정확성,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과 도구를 도입. 여기에는 BIM(빌딩 정보 모델링), 드론 및 기타 형태의 자동화 사용이 포함.
- 오프사이트 및 모듈식 건설: 구성 요소를 오프사이트에서 제작한 다음 건설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. 효율성을 개선하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어 많은 건설 회사에서 매력적인 옵션.
- 지속 가능한 건축 관행: 친환경 자재 사용, 에너지 효율성 개선, 폐기물 감소 등 지속 가능한 건축 관행에 대한 관심도 증가.
- 노동력 부족: 건설 업계는 숙련된 노동력 부족에 직면하고 있으며, 이로 인해 임금이 상승하고 일부 기업은 프로젝트 완료 난이도 증가.
수요 측면
- 도시화: 도시화 추세로 인해 도시에서 더 많은 주택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.
- 인프라 노후화: 많은 국가에서 교량, 고속도로, 수도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는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. 이로 인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 증가.
-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: 팬데믹으로 인해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. 이로 인해 환기 시스템과 비접촉식 기술이 개선된 건물 등 건강과 웰빙을 우선시하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.
- 비용 상승: 건축 자재, 인건비, 토지 비용이 상승하고 있으며, 이로 인해 건설 프로젝트 비용이 증가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.
Tech in Construction
프로젝트 관리
- 프로젝트 사양 및 자원 가용성등을 고려한 AI기반 SCM 최적화
설계
-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설계 / 건물정보모델링(BIM)
- 특정 제약사항(건축 법규, 에너지 효율성, 물리적 특성 등) 하에서의 구조물 설계
- 철골구조물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특허 출원, 현대엔지니어링
- 지형, 조망, 건축 법규 등을 분석해 아파트 설계를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제공, 텐일레븐
시공
- 벽돌 쌓기 및 용접 등 특정 공정의 로봇을 통한 자동화
- Quality Control 및 Safety Risk 관련현장 데이터 수집-모니터링-진단 via 로봇, 드론
정리하고 보니 건설 산업은 한 포스트로 정리하기는 너무 넓어서, 추후에 분야별(주택, 토목, 건축, 플랜트)로 나눠서 세부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.
'산업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위 산업 살펴보기 (0) | 2023.05.04 |
---|---|
제약 산업 살펴보기 (2) | 2023.04.26 |
탄소 포집 기술(CCUS)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
생성형 AI (Generative AI) 시장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
화장품 산업 살펴보기 (0) | 2023.04.26 |